2024년 국정감사는 10월 7일부터 10월 25일까지 진행되며, 국회운영위원회의 국정감사는 10월 31일과 11월 1일 이틀에 걸쳐 실시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운영위 국정감사 일정과 대상기관, 감사위원 편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H2 국정감사 일정
H3 전체 국정감사 일정
2024년 국정감사는 다음과 같은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 기간: 2024년 10월 7일(월) ~ 10월 25일(금)
H3 운영위 국정감사 일정
운영위원회의 국정감사는 다음과 같은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 날짜: 2024년 10월 31일(목) 및 11월 1일(금)
H2 국정감사 대상기관
국회운영위원회가 선정한 국정감사 대상기관은 총 9개입니다. 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회사무처
- 국회도서관
- 국회예산정책처
- 국회입법조사처
- 대통령비서실
- 국가안보실
- 대통령경호처
- 국가인권위원회
- 국회미래연구원 (본회의 승인 대상)
H3 주요 감사사항
운영위 국정감사에서 다루어질 주요 감사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조직 및 인사관리 등 기관 운영 관련 사항
– 주요 정책 및 업무 추진 사항
– 2025년도 예산안 심사 필요 사항
– 2023년도 국정감사 결과 시정 및 처리 요구 사항
– 민원 처리 사항 등
H2 운영위 감사위원 편성
운영위 국정감사 위원은 다음과 같이 편성됩니다:
H3 더불어민주당
- 감사반장: 박찬대 위원장
- 간사: 박성준
- 위원: 강유정, 고민정, 김민석, 김성회 등
H3 국민의힘
- 간사: 추경호
- 위원: 배준영, 강명구, 강민국, 강승규 등
H3 기타 정당
- 조국혁신당: 신장식
- 개혁신당: 천하람
H2 국정감사 절차
국정감사의 절차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 증인 및 참고인 출석요구: 기관증인과 참고인의 출석요구는 위원회 의결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 국정감사 결과보고서 작성: 초안은 위원장이 간사와 협의하여 작성하며, 감사의 목적, 기간, 대상기관 및 주요 내용이 포함됩니다.
- 의결: 작성된 보고서는 전체위원회에 보고 후 의결을 통해 채택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국정감사는 언제부터 언제까지 진행되나요?
국정감사는 2024년 10월 7일부터 10월 25일까지 진행됩니다.
질문2: 국정감사에서 어떤 기관이 감사 대상인가요?
국정감사 대상기관은 국회사무처, 국회도서관, 대통령비서실 등 총 9개 기관입니다.
질문3: 운영위 국정감사의 주요 감사사항은 무엇인가요?
주요 감사사항으로는 기관 운영, 주요 정책 및 업무 추진 사항, 2025년도 예산안 심사 등이 포함됩니다.
질문4: 감사위원들은 어떤 방식으로 편성되나요?
감사위원은 각 정당에서 추천한 위원으로 편성되며, 간사와 위원장이 정해집니다.
질문5: 국정감사 결과는 어떻게 보고되나요?
국정감사 결과는 위원장이 간사와 협의하여 작성한 보고서로 전체위원회에 보고 후 의결됩니다.
이전 글: 희귀동전 년도 및 가격표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