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서울시에서는 어르신들의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다양한 일자리와 사회활동 지원 사업을 마련하였습니다. 노인 빈곤률이 높은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프로그램은 어르신들에게 소중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서울시 어르신 일자리 개요
노인 일자리의 필요성
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면서 은퇴 후에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니어들이 많아졌습니다. 그러나 OECD 국가 중 노인 빈곤율이 가장 높은 한국에서는 안정적인 소득원이 매우 중요합니다. 서울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3년 총 6만 9,900개의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어르신 일자리 사업의 종류
서울시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일자리를 제공합니다. 사회 서비스형, 시장형, 공익활동형 등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특징과 지원 조건이 다릅니다.
어르신 일자리 신청 방법
신청 가능 기관
어르신들은 자치구별 시니어클럽, 노인복지관, 사회복지관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2023년 12월 5일부터 25개 자치구에서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참여 자격 및 조건
- 사회 서비스형: 만 65세 이상이 지원 가능하며, 월 60시간 근무로 최대 71만 원의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시장형: 만 60세 이상이 신청할 수 있으며, 매출이 늘어날 경우 추가 소득 발생이 가능하여, 카페 운영, 소규모 제조업 등 다양한 일자리가 마련됩니다.
- 공익활동형: 기초생활수급자인 만 65세 이상 어르신만 신청 가능하며, 월 30시간 활동 시 27만 원의 활동비를 지원받습니다.
[표: 서울시 어르신 일자리 유형 및 조건]
일자리 유형 | 연령 요건 | 근무 시간 | 급여 |
---|---|---|---|
사회 서비스형 | 65세 이상 | 월 60시간 | 최대 71만 원 |
시장형 | 60세 이상 | 유동적 | 매출에 따라 추가 소득 |
공익활동형 | 65세 이상 | 월 30시간 | 27만 원 |
어르신 일자리 관련 정보
모집 일정 및 절차
2023년 어르신 일자리 사업의 참여자 모집은 자치구별로 진행되며, 모집 기간이 끝난 후에도 대기 신청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자치구 담당 부서에 문의하거나 서울시 다산콜센터(02-120)로 연락하면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치구별 연락처
각 자치구별로 어르신 일자리 담당 부서의 연락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종로구: 2148-2205
- 중구: 3396-5369
- 용산구: 2199-6997
- 성동구: 2286-6293
- 광진구: 450-7407
- 노원구: 2116-3756
- 은평구: 351-7156
- 서대문구: 330-1773
- 마포구: 3153-8856
- 양천구: 2620-3371
- 강서구: 2600-6492
- 구로구: 860-2825
- 금천구: 2627-1383
- 영등포구: 2670-3412
- 동작구: 820-9351
- 관악구: 879-6155
- 서초구: 2155-8872
- 강남구: 3423-5912
- 송파구: 2147-2927
- 강동구: 3425-8750
- 동대문구: 2127-5628
- 중랑구: 2094-1567
- 성북구: 2241-2524
- 강북구: 901-6713
- 도봉구: 2091-3057
자주 묻는 질문
서울시 어르신 일자리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어르신들은 자치구별 시니어클럽이나 노인복지관 등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모집 기간은 12월 5일부터 시작됩니다.
참여 자격은 어떻게 되나요?
사회 서비스형은 만 65세 이상, 시장형은 만 60세 이상, 공익활동형은 기초생활수급자인 만 65세 이상이 신청 가능합니다.
급여는 어떻게 되나요?
각 일자리 유형에 따라 급여가 다르며, 사회 서비스형의 경우 최대 71만 원, 공익활동형의 경우 27만 원의 활동비를 지급받습니다.
추가 모집은 어떻게 하나요?
모집 기간이 끝난 후 대기 신청이 가능하며, 추후 추가 모집 공고가 있을 수 있으니 수시로 확인해야 합니다.
문의는 어디서 하나요?
서울시 다산콜센터(02-120)나 거주지의 자치구 어르신일자리 담당 부서에 문의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