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저축은행 업계에서 정기예금 금리가 상승하고 있어 많은 고객들이 높은 금리를 활용해 더 많은 이자를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2023년 6월 4주 기준으로, 24개월 정기예금의 최고 우대 금리는 2.30%로, 이전 주에 비해 0.15%p 상승했습니다.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 동향
주요 저축은행 금리
키움예스저축은행의 ‘정기예금(인터넷뱅킹, 스마트뱅킹)’과 ‘SB톡톡 정기예금(비대면)’ 상품은 2.30%의 금리를 제공합니다. 이 외에도 흥국저축은행의 ‘비대면 정기예금’과 ‘E-정기예금’, ‘S-정기예금’은 2.25%로, 0.25%p 상승했습니다.
스마트저축은행의 ‘e-로운 정기예금’과 ‘e-정기예금’은 2.23%로 상승폭이 0.20%p에 달합니다. 유니온저축은행과 동원제일저축은행의 상품도 각각 2.20%와 2.15%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
BNK저축은행의 ‘정기예금’은 2.10%로, 전주 대비 0.30%p 상승하였으며, KB저축은행의 ‘정기예금’과 ‘KB e-plus 정기예금’도 같은 상승폭을 보였습니다. NH저축은행의 비대면 정기예금은 1.80%로, 신한저축은행의 다양한 정기예금 상품은 1.75%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추가 우대금리 제공 상품
많은 저축은행에서 추가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애큐온저축은행의 정기예금은 인터넷뱅킹이나 폰뱅킹으로 가입 시 연 0.05%p, 모바일뱅킹으로 가입하면 0.10%p의 추가 금리를 제공합니다. 유안타저축은행의 경우, 회전정기예금 가입 시 1년마다 정기예금 12개월 금리에 0.05%p를 추가로 제공하며, 예가람저축은행은 만기 후 원금을 재예치할 경우 0.10%p의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또한, SBI저축은행의 ‘복리정기예금(사이다)’는 만기우대금리 0.50%p를 제공하며, 자동연장으로 재예치 시 0.10%의 추가 금리 혜택이 있습니다.
저축은행 상품 선택 시 주의사항
저축은행의 우대조건은 주요 시중은행보다 충족하기 쉬운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고객들은 상품 가입 전 우대조건을 미리 확인하여 추가 금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융감독원은 금융상품의 이자율과 거래조건이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거래 전 반드시 해당 금융회사에 문의하라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상품은 왜 금리가 높은가요?
저축은행은 시중은행보다 자금 조달 비용이 낮아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질문2: 정기예금 상품의 우대금리 조건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각 저축은행의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우대금리 조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문3: 저축은행 상품 가입 시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하나요?
상품별 이자율과 조건이 자주 변경되므로, 가입 전 반드시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질문4: 정기예금의 재예치 우대금리는 어떤 경우에 적용되나요?
재예치 우대금리는 만기 후 원금을 다시 예치할 때 적용되며, 각 저축은행마다 조건이 다를 수 있습니다.
질문5: 비대면 정기예금은 어떤 장점이 있나요?
비대면 정기예금은 일반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며, 가입 절차가 간편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질문6: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상품은 안전한가요?
저축은행의 예금은 예금보험공사에 의해 보호받으므로 일정 금액까지 안전합니다. 다만, 각 저축은행의 신용도와 재무 상태를 고려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