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DATEDIF 함수로 날짜 계산하는 방법



엑셀 DATEDIF 함수로 날짜 계산하는 방법

엑셀에서 날짜 계산은 업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특히 근속년수, 나이, 감가상각 기간 등을 계산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DATEDIF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DATEDIF 함수 개요

DATEDIF 함수란?

DATEDIF 함수는 두 날짜 사이의 기간을 연도, 월, 일 단위로 계산해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함수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DATEDIF(시작일, 종료일, 단위)



날짜 계산 단위

DATEDIF 함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설명
Y연도 차이
M월수 차이
D일수 차이
YD연도를 무시한 일수 차이
YM연도를 무시한 월수 차이
MD월과 연도를 무시한 일수 차이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DATEDIF 함수 활용법

1. 근속기간 년수 계산

직원들의 입사일과 퇴사일이 있는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근속기간을 년수로 계산하기 위해 아래 수식을 사용합니다:
=DATEDIF(C5, D5, "y")
이렇게 입력하면 근속기간이 년수로 표시됩니다. 자동채우기 기능을 이용하면 나머지 셀도 쉽게 채울 수 있습니다.

2. 근속기간 월수 계산

근속기간을 월수로 계산하려면 단위를 “m”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DATEDIF(C5, D5, "m")
위 수식을 입력하면 근속기간이 월로 표시되며, 자동채우기 핸들을 사용하여 빈 셀도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3. 근속기간 일수 계산

일수로 표시하고 싶다면 단위에 “d”를 사용하면 됩니다:
=DATEDIF(C5, D5, "d")
이렇게 하면 근속기간이 일수로 출력됩니다.

4. 근속년수 년월일 계산

근속기간을 0년 0개월 0일 형식으로 나타내려면 다음과 같은 수식을 사용합니다:
=DATEDIF(C5, D5, "y") & "년 " & DATEDIF(C5, D5, "ym") & "개월 " & DATEDIF(C5, D5, "md") & "일"
이 수식을 입력하면 ’00년 00개월 0일’ 형식으로 근속년수가 출력됩니다.

엑셀 사용 팁

  • 개월은 연도를 무시한 개월만 표시해야 하므로 “YM” 단위를 사용합니다.
  • 일수는 월과 연도를 무시한 날짜만 나타나게 하려면 “MD” 단위를 사용합니다.
  • 각 숫자 뒤에 ‘년’, ‘개월’, ‘일’을 붙이기 위해서는 &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DATEDIF 함수가 작동하지 않을 때는?

DATEDIF 함수는 비공식 함수로, 모든 엑셀 버전에서 지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른 날짜 계산 방법을 고려해 보세요.

DATEDIF 함수는 어떤 상황에서 가장 유용한가요?

DATEDIF 함수는 직원의 근속기간, 계약 기간, 연령 계산 등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두 날짜 사이의 기간을 쉽게 계산하는 다른 함수는 무엇이 있을까요?

DATEDIF 외에도 YEARFRAC, NETWORKDAYS 등의 다양한 함수가 날짜 계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엑셀에서 날짜 형식이 다르게 표시되는 이유는?

엑셀의 날짜 형식은 시스템의 지역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날짜 형식을 변경하려면 셀 서식을 조정해야 합니다.

DATEDIF 함수의 결과를 다른 셀에 연결할 수 있나요?

네, DATEDIF 함수의 결과를 다른 셀에 연결하여 출력할 수 있습니다. & 연산자를 사용해 쉽게 문자열을 조합할 수 있습니다.

엑셀의 DATEDIF 함수를 활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날짜 계산을 진행해보세요. 이 함수는 다양한 실무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전 글: 황야의 이리: 헤르만 헤세의 자아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