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노후주택의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비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지원사업은 사용 승인 후 10년이 지난 건물 및 주택을 대상으로 하며, 에너지 성능 개선 공사비의 100%를 무이자로 융자해 줍니다.
지원대상 및 조건
지원대상
서울시는 사용 승인 후 10년이 지난 주택과 건물에 대해 지원을 제공합니다. 단, 신재생에너지 관련 설비는 공사비의 80% 이내로 지원됩니다.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심의 과정을 통해 신청 내역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토받아야 하며, 이후 대출 추천서를 발급받게 됩니다.
지원 조건
지원 한도는 건물의 경우 최대 20억 원, 주택의 경우 6천만 원입니다. 건물은 1천만 원에서 20억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주택은 5백만 원에서 6천만 원(공동주택 3천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제로에너지빌딩 인증 완료 시에는 최대 30억 원까지 지원을 우선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내용 및 적용금리
지원금리는 연 0%의 고정금리이며, 조기상환 시 수수료는 없습니다. 원리금은 8년 이내에 균등하게 분할 상환할 수 있으며, 거치 기간은 3년 이내로 설정됩니다.
지원 범위
서울시의 지원은 건축 및 전기, 신재생에너지 설치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습니다.
건축 분야
- 단열창호: 에너지소비효율등급 1~3등급의 창 세트에 대해 지원하며, 고정창, 터닝도어, 폴딩도어는 시험 성적서 제출로 대체 가능합니다.
- 고기밀성 단열문: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 제품으로, 외기와 접촉하는 문에 사용됩니다. 열관류율 1.2W/m²•k 이하, 통기량 1등급 이하의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 내외벽 단열재: 기존 단열재를 철거한 후 새로 설치하거나, 기존 벽체에 단열재를 추가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전기 분야
- 냉난방 효율 향상 공사: 보일러, 냉온수기, 냉동기, 펌프 등의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 제품 교체 시 지원됩니다. 가정용 보일러는 2023년부터 융자 지원이 제외됩니다.
- 자가 열병합 발전 시설 설치: 열 회수 설비 및 건물자동화제어장치 설치 시 지원이 가능합니다.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의 신재생에너지를 설치할 경우, 효율화 부분에 총 사업비의 50% 이상 투자하면 지원받을 수 있으며, 공사비의 80% 이내로 지원됩니다.
신청 방법 및 절차
신청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홈페이지 가입: 관련 공지사항을 확인하고, 건물에너지효율화 사업 페이지에 회원 가입합니다.
- 시공계약 체결: 시공업체와 계약을 체결한 후 진행됩니다.
- 대출심사 가능 사전확인서 발급: 주택은 신한은행, 건물은 여러 은행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 심의 신청: 에너지 성능 공사 착공 전 신청서류를 접수합니다.
- 융자 심의: 신청서류를 검토한 후 결과를 확인합니다.
- 공사 완료: 완료 보고서를 제출하고, 서울시의 현장 확인 후 기후대응기금 융자추천서를 발급받습니다.
- 대출 심사 및 신청: 보증보험 상품 가입 후 대출을 확정합니다.
기타 지원사업
서울시는 저소득 가구를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 희망의 집수리: 중위소득 60% 이하 가구에 최대 180만 원의 보조금을 지원합니다.
- 안심 집수리: 주거 취약 가구에 최대 1,000만 원, 반지하 가구에는 최대 600만 원을 지원하여 방수, 단열, 창호 성능 개선 등의 작업을 돕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지원금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신청은 홈페이지에 가입 후 시공업체와 계약을 체결하고,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여 진행합니다.
질문2: 지원 금리는 어떻게 되나요?
지원 금리는 연 0%로 고정되며, 조기상환 수수료는 없습니다.
질문3: 어떤 종류의 공사가 지원되나요?
단열, 냉난방 효율 향상, 신재생에너지 설치 등의 다양한 공사에 대해 지원이 가능합니다.
질문4: 융자 한도는 얼마인가요?
건물의 경우 최대 20억 원, 주택은 최대 6천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질문5: 심의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신청서류를 검토 후 적합성 및 타당성을 평가하여 대출 추천서를 발급합니다.
